생활정보

분양받은 아파트, 조합장 공사비 미납·잠적으로 인한 피해 정리 (등기 지연·대출 불가 사례 포함)

피오농부 2025. 4. 6. 07:48
반응형

최근 한 신축 아파트 단지에서 해임된 조합장이 법인 도장과 통장, 카드 등을 들고 잠적하면서 조합원과 일반 분양자 모두 큰 피해를 겪고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.
공사비 미납, 등기 지연, 대출 불가 등 심각한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,
이런 상황에서 입주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, 실제 사례와 함께 정리했습니다.


⚠️ 조합장 잠적으로 인한 주요 피해 유형

✅ 일반 분양자 피해

  1. 등기 지연 → 대출 불가
    • 조합 청산이 완료되지 않으면 소유권 이전 등기 불가
    • 등기 전까지 주택담보대출 승인 불가, 생활 자금에 직접적 영향
  2. 재산권 제한
    • 조합 채무 발생 시 시공사의 유치권 행사 가능성
    • 입주 제한, 추가 부담금 발생 가능
  3. 공동 관리 문제
    • 관리비 정산, 시설 유지보수 등 운영 공백 발생
    • 조합 미납 공사비를 일반분양자에게 부담 전가하는 경우도 있음

✅ 조합원 피해

  • 조합 해산 지연
  • 추가 분담금 부담 증가
  • 행정 절차·계약 이행 지연
  • 법적 책임이나 소송에 따른 정신적·금전적 스트레스

🔍 실제 사례: 평촌 트리지아 아파트

경기도 안양시 평촌 트리지아 아파트

  • 조합장 잠적으로 인해 법인 도장, 통장, 카드 미회수
  • 조합 청산 지연으로 등기 발급이 막힘
  • 가구당 1,300만 원 수준의 추가 부담금 발생 예상
  • 조합원들이 임시총회로 집행부 해임 및 청산위 구성

교훈: 빠른 법적 조치 + 조합원 단합 + 시공사 협조가 핵심


🛠️ 해결 방법 총정리

✅ 1. 법적 조치 및 전문가 상담

  • 손해배상 청구 가능성 검토 (등기 지연으로 인한 재산권 침해)
  • 청산 지연 시 법원에 강제청산 신청 가능
  • 부동산 전문 변호사 또는 공동 대리인(변호사·회계사 등) 선임 추천

✅ 2. 조합 정상화 절차

  • 임시총회 소집 (조합원 1/5 이상 동의 시 가능)
  • 새 집행부 구성 → 조합 청산 추진
  • 법인 도장·통장 분실 시: 공증 후 신규 발급 진행

✅ 3. 금융 대응 방안

  • 등기 전 대출 불가 시신용대출·보증대출 임시 활용
  • 일부 금융사에서 조합 청산 중 특례 대출 제공 사례 있음 (금융기관 직접 상담 필수)

🧾 유사 피해 방지 체크리스트

✅ 조합 운영 투명성 확인 (정기 공지, 회계자료 등)
✅ 등기 상황 및 공사비 미납 여부 사전 파악
✅ 조합원 간 커뮤니티 구축 및 단체 대응 체계 마련
✅ 분양 계약서 내 조합 귀책 시 책임 조항 유무 확인
✅ 입주 전 조합·시공사·금융사와 등기 및 대출 일정 협의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