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정보

Windows 원격데스크톱 연결 오류? mstsc 접속 안될 때 해결 방법 정리

피오농부 2025. 7. 10. 03:54
반응형
Windows에서 mstsc(원격 데스크톱) 연결이 안되고,
서버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사용할 수 없음, 컴퓨터가 꺼져 있음, 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없음 같은
메시지가 뜨나요? 이 글에서 하나하나 쉽고 친근하게 해결법을 알려드릴게요.

📖 목차 (Table of Contents)


🖥️ mstsc 오류 원인

보통 mstsc로 원격 접속을 시도할 때 아래 3가지 메시지가 가장 자주 뜹니다.
  • 서버에 대한 원격 액세스를 사용할 수 없음
  • 원격 컴퓨터가 꺼져 있음
  • 네트워크에서 원격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음
이 문제는 대부분 설정 미비나 네트워크 환경 때문에 발생해요.
특히 같은 네트워크(LAN) 내에서 접속하려는데도 이런 오류가 뜨면
대부분 서버 쪽 설정에서 해결 가능합니다.

✅ 문제 해결을 위한 체크리스트

아래 내용은 Windows 10, 11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
순서대로 하나씩 확인해보세요.

1️⃣ 원격데스크톱 허용 확인

가장 흔히 놓치는 부분입니다.
  1. 서버(접속당할 컴퓨터)에서 Win + R → sysdm.cpl 입력 후 엔터
  2. [원격] 탭에서
  3. Windows 10 Home은 기본적으로 원격 데스크톱 호스트를 지원하지 않으니
    Pro, Enterprise에서만 가능합니다.
그리고 방화벽 예외도 확인해 주세요.
  • 제어판 → Windows Defender 방화벽 → 앱을 통해 방화벽 허용 → 원격 데스크톱이 체크되어 있어야 합니다.

2️⃣ 네트워크 탐색 및 공유 확인

같은 LAN이어도 네트워크 탐색이 꺼져 있으면 상대를 못 찾습니다.
  • 제어판 → 네트워크 및 공유 센터 → 고급 공유 설정 변경
  • 네트워크 탐색 켜기, 파일 및 프린터 공유 켜기 활성화 확인

3️⃣ IP 직접 연결과 통신 확인

컴퓨터 이름 대신 IP주소로 직접 접속 해보세요.
  • 서버에서 cmd 열고 ipconfig → IPv4 주소 확인
  • mstsc 실행 후 서버IP 입력
  • ping 서버IP 로 통신 되는지 확인
    ping 192.168.0.5
만약 ping이 안되면 스위치/공유기 상태, IP 충돌 등을 점검해야 합니다.

4️⃣ 원격데스크톱 서비스 확인

서버에서 서비스가 꺼져있으면 당연히 접속 안됩니다.
  • Win + R → services.msc 입력 → Remote Desktop Services 가 실행 중인지 확인

5️⃣ 방화벽과 포트 상태 확인

  • 기본 포트는 3389입니다.
  • cmd에서 아래 명령어로 LISTEN 중인지 확인:
    netstat -an | find "3389"
만약 방화벽이나 보안 프로그램이 3389를 막고 있다면 허용 규칙을 추가해 주세요.

🔍 추가로 하면 좋은 점검

  • 서버를 한번 재부팅 (의외로 재부팅 한 번에 풀리는 경우 많아요)
  • mstsc /admin 으로 관리자 세션 접속 시도
  • 원격 접속할 계정에는 반드시 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어야 합니다.
    (패스워드 없는 계정은 보안 정책상 접속이 차단됨)
  • VPN 사용 중이라면 일단 해제 후 시도

✨ 마무리

위 단계에서 보통 1번(원격 허용)2번(네트워크 탐색) 만 잘 설정해도
대부분 문제는 해결됩니다.
혹시 그래도 안 된다면
  • ipconfig /all 결과
  • netstat -an | find "3389" 결과
    를 기록해두었다가 전문가에게 문의하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반응형